티스토리 뷰


저축은행 각종 순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축은행 연봉 순위, 자산, 매출 순위, 브랜드 순위, BIS 순위 다양한 순위 등)이 있습니다. 

 

저축은행 순위(자산, 매출, 이익, 브랜드, 평판 등)

 

몇년전부터 저축은행 성장세가 가파른것 같은데요. 예전처럼 지역에 국한된 서비스가 아니라 온라인으로 지역과 상관없이 전국적인 서비스가 가능한데다 시대 흐름에 맞춰서 중금리 대출을 취급하고 수익성을 다각화하고 있어서겠지요. 

 

또 은행의 초저금리 시대에 바로 옆에 있는 쏠쏠한 예금, 적금의 저축은행들에 눈을 돌릴수밖에 없는것도 당연하고요. 1금융 은행 대비 문턱이 낮은 대출 기준때문이기도 할겁니다.

 

특히나 메이저 저축은행인 SBI저축은행 같은 경우는 지방 소형 은행 급이라 할수 있을 정도로 몸집 부풀리기에 성공한 모습입니다. ( 현재 자산 10조 2천억 이상-스고이, 스바라시... )


1. 저축은행 자산 순위(순이익 포함)

당연히 자산순위가 순위를 매기는덴 가장 중요한 지표가 아닐까 싶습니다. 순이익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겠구요. 2024.2분기가 지난 시점 웰컴과 페퍼 순위가 바뀌었네요 근소한 차이지만 웰컴이 올라가고 SBI, OK 양강 체제가 굳어져 가면서 한국투자가 3위로 자리를 포지셔닝 하는 것이 보입니다. 

 

최근 저축은행 업계 분위기가 안좋아지면서 전체적으로 적자 규모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축은행 전체적으로 1분기 실적은 -1,500억 정도입니다. 연말까지 예측되는 적자 수준은 약 5천억 수준입니다. 

 

(`24.03 기준)

구분
기초 재무정보 주요 경영지표
총자산 총부채 자기자본 당기순이익 BIS비율 고정이하
여신비율
ROA
에스비아이 14,679,283 12,853,798 1,825,485 -6,429 15.43 6.97 0.56
오케이 13,794,092 12,280,461 1,513,631 14,913 12.77 9.48 0.49
한국투자 8,362,477 7,230,038 1,132,439 6,798 15.21 7.55 0.04
웰컴 6,158,819 5,439,114 719,705 13,055 15.24 9.64 0.46
애큐온 5,346,849 4,885,131 461,718 4,061 12.02 6.93 -1.08
다올 4,304,884 3,863,635 441,249 3,004 12.75 7.41 -0.19
페퍼 3,679,690 3,342,503 337,187 -37,954 11.38 16.83 -1.83
신한 2,926,057 2,613,128 312,929 2,632 18.57 6.47 0.49
케이비 2,761,850 2,587,522 174,328 17,850 12.12 12.2 -3.11
상상인 2,671,890 2,420,197 251,693 -37,974 11.31 24.27 -2.3
오에스비 2,654,110 2,407,912 246,198 1,576 12.09 12.88 -0.93
하나 2,594,781 2,273,159 321,622 -270 15.84 8.9 -0.63
디비 2,444,144 2,132,016 312,128 787 14.07 3.79 0.09
엔에이치 2,376,224 2,092,577 283,647 2,244 16.87 9.96 -2.31
제이티친애 2,356,273 2,135,934 220,339 -7,207 11.23 8.54 -1.3
대신 2,284,895 2,029,541 255,354 873 13.38 9.94 -1.65
모아 2,246,784 1,903,823 342,961 -2,269 19.37 13.78 0.03
키움 2,156,970 1,913,222 243,748 -7,065 13.92 12.13 0.12
키움예스 2,001,052 1,727,493 273,559 -9,804 15.32 9.57 -0.15
제이티 1,959,876 1,779,241 180,635 -4,447 11.33 8.16 -0.38
비엔케이 1,923,228 1,705,854 217,374 -3,435 13.54 8.16 -1.82
우리금융 1,806,684 1,634,009 172,675 -11,591 13.84 6.33 -2.42
바로 1,767,928 1,566,721 201,207 -22,094 13.42 17.97 0.18
아이비케이 1,719,019 1,590,235 128,784 -10,839 10.35 11.74 -1.44
예가람 1,685,838 1,489,380 196,458 -2,026 15.66 9.2 0.02
고려 1,506,742 1,284,694 222,048 -8,815 13.41 8.96 -0.24
푸른상호 1,370,082 1,062,281 307,801 849 24 10.13 1.44
한화 1,361,228 1,184,572 176,656 464 15.1 10.85 0.16
상상인플러스 1,357,475 1,229,075 128,400 -17,255 10.88 23.59 -2.63
스마트 1,113,119 1,000,963 112,156 160 12.13 9.34 0.23

 

SBI저축은행이 16조로 1위, OK저축이 15조, 9조 한국투자저축은행, 6조 웰컴, 페퍼 순으로 있고요. 바로 아래 5조 애큐온이 있군요. 

--> 불과 1년만에 SBI가 14조,  OK가 13초, 한투가 8조로 규모들이 줄어드는 것이 보이고요. 페퍼는 6조에서 3조 규모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이 보입니다.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순이익이 자산 규모와는 꼭 일치하지는 않은데요. 자산 규모를 키우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어있고 각종 비용들이 있어서 단기간 순이익 실적으로 장사를 잘한다, 못한다 판단할순 없는 것 같습니다. 


2. 저축은행 브랜드 순위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발표하는 브랜드 순위는 소비자 행동분석 결과를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소셜지수로 분류, 가중치를 두고 나온 지표입니다. 앞선 자산 순위나 연봉 순위도 중요하겠지만 이미지가 굉장히 중요한 시대입니다. 

 

기업들은 이미지를 위해서 엄청난 규모의 마케팅을 하고 자선사업을 아낌없이 하는 이유가 있겠지요. 하루아침에 이미지를 말아먹고 매출을 바닥을 찍는 유니클로나 롯데 등을 생각해보면 알수 있습니다. 

 

출처 : 한국기업평판연구소(brikorea.com

1,2위인 SBI와 OK는 고정이며 페퍼저축은행이 무섭게 상승하고 있는것이 확인됩니다. 2년 전에는 7위였는데 말이죠. 

 


저축은행 연봉 순위

사실 연봉이 그렇게 드러나는 정보는 아니긴 합니다만 여기저기 찾아보면 많이 나올수가 있습니다. 크레딧잡이나 잡플래닛, 여러 뉴스들, 그리고 블라인드 앱까지 연봉에 대한 정보들을 얻을수가 있습니다. 

 

그 중에 좀 신뢰할만한 기사가 보여서 가져왔는데요. 

 

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003240805265440102666&lcode=00

 

저축은행 급여차 여전...SBI '최상위'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표로 정리해보면 이렇게 됩니다. 해당 기사에서는 그림이 깨져서 한참을 찾았네요. 

 

2021년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

순위 저축은행 평균연봉
1 페퍼저축은행 8,800만원
2 SBI저축은행 8,500만원
3 유진저축은행(다올) 8,000만원
4 애큐온저축은행 7,600만원
5 한국투자저축은행(한투) 7,400만원
6 OSB저축은행 6,800만원
7 웰컴저축은행 6,300만원
8 OK저축은행 5,200만원
9 JT친애저축은행 5,000만원
10 모아저축은행 4,000만원

 

참고로 이게 정확한 연봉이라고는 할수가 없습니다만 여러가지 알려진 루트에 의하면 대충 해당 순위로 저축은행 연봉 순위가 맞는걸로 판단이 됩니다. 

 

한국투자, 유진(다올), 애큐온,SBI, 상상인이 1위 그룹입니다.( 여러가지 피셜을 합쳐봤을 때 ) 

 

OSB, 애큐온, OK, 웰컴은 비슷비슷한 수준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까도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블라인드 앱, 크레딧잡, 잡플래닛 , 뉴스들, 경영공시 등을 참고하시면 대강의 연봉 수준을 알 수 있으니 취업, 이직으로 알아보신다면 위 채널들 여러곳을 도시면 거의 정확한 수준으로 아실수 있습니다. 


저축은행 BIS 순위

대상은 자산 3조 이상으로 잡으니 12군데가 나와서 자산 상위 12개 저축은행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SBI(에스비아이) 저축은행은 자산 1등 높은 당기순이익 1등,  BIS 1 등으로 저축은행 계에서 유난히 눈에 띄는 실적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다들 금융감독당국 기본 충족 요건인 BIS 비율 8%을 가뿐히 넘기는 모습입니다. ( 1금융 은행은 7% ) 

 

저축은행 핵심경영지표(링크)

 

 


저축은행 순위 정리

 

이렇게 보면 자산, 순이익과 브랜드, 연봉 등의 순위를 보면 1,2위인 SBI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을 제외하곤 상이한 것을 알수 있습니다. 

 

1위인 SBI저축은행과 2위인 OK저축은행 차이도 2조 이상 벌어져 있어 쉽게 뒤집힐 것 같지는 않습니다. 2019년까지만 하더라도 1조 4천억 대의 차이정도로 좁혀져 가는 그림이라 1위가 바뀌는지 미디어의 관심이 쏠리긴 했었는데요. 

 

코로나19에 대한 전략이 양 저축은행간 달라 차이가 더욱 벌어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SBI저축은행은 코로나19를 기회로 중금리 대출을 더욱 활성화해서 자산을 늘렸고 OK저축은행은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다소 보수적인 대출 기준을 적용했다고 하니까요. 

 

결과는 코로나19 여파가 나오는 2년 내로 나올거 같구요. 

 

나머지 3조, 2조대 저축은행의 각축전은 매번 분기, 반기별 실적에 따라 언제든 뒤바뀔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저축은행 빅3에 들기 위한, 저축은행 순위 3위를 차지하기 위한 페퍼, 한투, 웰컴의 경쟁도 눈여겨볼만한 관전 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축은행 파킹통장 추천, top 1은?

저축은행 대출금리 비교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가장 높은 곳)

저축은행 정기 적금 금리 비교 - 높은 곳 순서대로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