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도 늘 하던대로 구글이 추천해주는 뉴스를 읽고 있던 도중 눈에 띄는게 하나 있었다. 바로 하나은행이 연 12% 적금을 판매하고 있다는 것. '연 12% 적금' 나왔다…하나은행 '하나 일리있는 적금' 출시 '연 12% 적금' 나왔다…하나은행 '하나 일리있는 적금' 출시 - 머니투데이 하나은행이 연 최대 12% 금리가 적용되는 적금 상품을 내놨다. 기존 적금 상품에 비해 금리우대 조건을 쉽게 채울 수 있는 상품이다.하나은행은 삼성카드와 제휴해 '하나 ... news.mt.co.kr 이런 기사였는데 내용을 정리, 요약해보자면 이렇다. 삼성카드 신규 가입 제휴 상품으로 삼성카드 최근 6개월 무실적자만 가능 매월 1만원 이상 사용 혹은 3개월 이상 월간 30만원 이상 사용시 우대금리 가능 연회비 1만5천원 월..

오늘은 금리인하 요구권과 서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대출 받으신 분들 이자가 많이 부담 되실 텐데요. 대출에 따른 가게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 금리인하 요구권을 찾으셨을거라 생각합니다. 1. 금리인하 요구권이란? 금리인하 요구권이란 대출거래 약정 때와 비교하여 신용상태를 비롯하여 대출 상환 능력 개선 등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고객이 은행이 정하는 아래 절차에 따라 금리인하를 요구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2. 금리인하 요구권 배경 금융위원회는 2002년 *행정지도를 통해 ‘여신거래기본약관’에 금리인하요구권을 규정했는데요. 이게 법적 구속력이 없다보니 활성화되지는 못했습니다. 당연히 대출기관은 손해를 보고 고객이 이득을 보는 행정지도였으니까요. 몇년이 지나고 금융위원회가 금리인하 요구권을..

제 자동차 보험 만기는 7월 7일이었습니다. 매년 자동차 보험 갱신을 해야할 때가 되면 저는 으레 하듯이 여러 인터넷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에서 자동차 보험료를 조회해서 가장 저렴한 곳을 선택하곤 합니다. 물론 그렇게 하면서 몇만원의 혜택을 받으면서 합니다. 이쪽 가입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보험료 조회만 하더라도 몇만원의 포인트를 주기 때문이죠. 1. 하나머니와 네이버페이 포인트 받기 하나머니나 네이버페이 포인트는 현금과 1:1로 현금이나 다를바가 없습니다. 그런데 '내차 보험료 확인'만 하더라도 1만에서 최소 5천 정도의 포인트를 그냥 지급해줍니다. 내차 보험료 확인하는데 5분도 걸리지 않으니 30분도 걸리지 않아 모든 조회를 다 할 수 있어서 저 같은 경우 매년 이걸로만 3만 포인트 이상의 혜택을 받..

2018년 7얼 1일에 개정된 주52시간이 시행된지 벌써 2년이 되어갑니다. 저 또한 근로소득자로 주52시간 적용을 받고 여러가지 변화를 느끼고, 누리고 살게 되었습니다. 먼저 결과적으로 잦은 야근이 없어지고, 휴일 근무를 하게 되더라도 대체 휴무를 쉬게 되는 등 무조건 주 최대 52시간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삶의 질이 향상 된 것이 느껴집니다. 더군다나 집에 아이들이 있는 가장으로 너무 많은 야근과 휴일근무를 하게 되면 가정에 소홀해지기 때문인데요. 예전 주52시간을 하지 않을때는 어떤 가정은 아이들이 아빠를 낯설어하고 낯가림을 하여 많은 아버지들이 마음 아파하는 일들을 보곤 했습니다. 주52시간 최대 근무제를 시행하여 급여가 줄어들고 사업주들 또한 기존보다 더 많은 채용이 필요해지는 일부 부작용이 있..

저축은행 대출금리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축은행이 은행보다 대출 금리는 다소 높습니다. 현실적으로 대출금리는 1금융권인 은행권에서 >> 2금융권인 저축은행과 캐피탈 >> 3금융권인 대부업 순으로 대출금리가 높습니다. 현실적으로 1금융권인 은행에서 대출받기 어려운 상황에서 다음 선택으로 저축은행을 찾고 계신거라 생각됩니다. 저축은행에는 중금리 대출 상품들이 있어서 1금융권과 금리가 비슷한 대출 상품을 찾을수도 있습니다. 다소 절차가 빠르고 간편하기 때문에 급할 때 이용하고 상환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다 알고 계실지도 모르지만 필수적인 내용에 대해서 먼저 정리하고 대출금리 알아볼게요. 1. 저축은행 대출금리 필수 정보. 1.1 저축은행은 BIS비율이 8% 이상인 곳에서 대출 받을 수 있도..

금융회사에서 일 하다보면 혹은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다보면 고객확인, CDD, EDD 라는 용어를 전자는 필수적으로, 후자는 가끔 볼 수 있다.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포스팅으로 정리해본다. 1. 고객확인은 금융실명제로부터 유래됐다. 먼저 고객확인이 왜 생겼는지 알아보자. 고객확인의 유래는 먼 과거인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의 금융실명제 시행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에서는 예,적금을 늘리 위해 예금주의 익명, 차명, 가명 계좌로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는데 검은돈이 돌기도 하고 실명이 아니다보니 탈세가 심해 세금 회수율이 11%밖에 되지 않았다. 상황이 이러다보니 금융실명제의 필요성 논의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미 기득권들이 더 득을 보던 상황이니 제대로 이루..

신용등급을 관리하는게 아주 중요한 세상이다. 신용카드를 만들때 거절될수 있고 대출 또한 거절되거나 금리가 높게 받아야 한다. 그 중요성을 알기에 이 포스팅까지 검색해본다고 생각한다. 빠르게 무료로 신용등급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확인해 보자. 1. 토스(TOSS) 무료로 가장 확실하게 신용등급 조회를 할수 있다. 그리고 신용등급을 올리기 위해서 어찌해야하는지 관리까지 겸해주니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고 본다. 더군다나 카드, 보험, 지출, 송금 갖가지 서비스들로 무장하고 있어서 설치해서 신용등급만이 아니라 소비 패턴을 확인하는 용도로도 이용하기 좋다. 바쁘고 귀찮아 가계부까진 못쓰더라도 카드 결제일에는 들어가서 소비 패턴을 확인하며 반성하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앱을 설치하고 들어가면 하단에서 두..

신청평점(AS등급)과 행동평점(BS등급)에 대해서 알아보자. 쉽고 간단하게 이해하려면 CSS등급을 평가할 때 신규 거래를 트기 위해서는 신청평점(AS등급)을 기존 거래에 대하여 변경을 하고자 할때 쓰인다고 생각하면 된다. 금융기관 내부신용평점시스템은 개별 금융회사 거래고객을 대상으로, CB사가 제공하는 신용평점, 신용정보 및 자체 보유하고 있는 거래정보 등을 반영하여 신용위험을 예측하는 개인신용평가시스템이다. 금융회사는 내부신용평점과 그 외 개인이 제공한 직장정보, 소득정보 등에 따라 각종 신용거래의 승인여부, 대출한도, 금리 등을 결정한다. 즉, 좀 더 간단하게 말하면 CB사가 제공한 정보 + 개인이 제공한 정보를 합하여 별도의 점수를 매겨서 나오는 것이 내부신용평점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1. 신..

대출을 하기 위해 고객의 신용을 평가하는 여러가지 등급이 있는데 각 금융사에서는 이들 등급을 가지고 내부에서 정한 기준을 가지고 고객의 한도나 금리를 결정하게 된다. 그래서 대출을 하려는 사람은 이들 등급에 대해 간단하게라도 알고 있고 관리를 할수 있으면 차후에 대출을 받을 때 한도나 금리 면에서 좀 더 유리할 수 있겠다. 1. 신용평가등급(CB등급, CSS등급, CSI등급) 흔히 CB등급이라 많이 부릅니다. 여기서 CB( Credit Bereau : 신용평가기관 )는 나이스라 부르는 한국신용정보와 KCB라 부르는 신용평가기관이라 생각하면 된다. 금융, 신용거래시 연체 유무, 금액, 기간, 다중채무 등을 종합하여 정해진다. 금융, 신용거래를 장기적으로 우수하게 하면 1등급으로 잦은 대출, 연체를 하게 되..